청년·노인·여성·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에 더 큰 영향

코로나19는 우리 국민의 삶의 질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가. 통계청은 6월 24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삶의 질’ 현황을 진단하고 정책 활용을 모색하는 토론의 장인 ‘제7회 국민 삶의 질 측정 포럼’을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코로나19 위기에 따른 삶의 질 변화’를 주제로 한 이날 포럼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사회적 충격이 생활 전반에 걸쳐 어떻게 우리 삶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데이터에 근거해 제시했다.

사회적 위험 완화 위한 계층별 정책 펼쳐야

송진미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위원은 코로나19 이후 국민의 삶의 질, 생활, 인식 변화에 대해 사회통합실태조사를 분석해 발표했다.

송 연구위원은 “코로나19로 국민의 행복감과 일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정도가 소폭 감소했으며, 개인의 경제 안정도, 경제 전망, 그리고 건강상태 인식도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동창회·동호회 등의 모임이 줄고 가족·지인 중심으로 대인관계가 변화하는 경향이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송 연구위원은 코로나19가 청년층과 고령층, 여성, 저소득층과 같은 취약계층에게 더 영향을 미쳤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19~29세와 60세 이상 집단의 경제 상황이 악화됐으며, 60세 이상의 건강상태 평가도 악화됐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코로나19 이후 가구 소득 300만원 미만 집단의 행복감 감소 폭이 500만원 이상 집단에 비해 크고 건강상태 평가 점수도 감소했으며, 여성의 경우 행복감과 사회적 지위에 대한 인식 점수가 낮아지는 등 부정적 변화가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송 연구위원은 “집단별 코로나19의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으므로, 사회적 위험을 완화하기 위한 계층별 정책이 필요하다”며 “기본적 생활을 보장할 수 있는 사회적 인프라 및 사회활동과 대인관계 변화에 따른 시민사회 내에서의 사회적 포용이 중요해질 것”이라고 제언했다.

비대면 사회로의 전환 위한 지원·역량 개발 필요

윤소영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은 2020년 국민여가활동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코로나19 이후 여가생활의 변화를 분석하고 여가활동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윤 연구위원은 “코로나19로 인해 외부 활동의 감소, 비대면과 온라인 활동의 증가 등 여가활동의 경험 방식이 변화했다”고 운을 뗐다.

그는 “코로나19로 인해 여가시간이 줄어들었다고 응답한 사람은 약 47%, 여가비용이 줄었다고 응답한 사람은 약 57%였다”며 “우울감이 증가했다는 사람은 약 51%였는데, 이들의 여가생활 만족도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윤 연구위원은 “코로나19 사태로 모든 활동과 생활의 중심에 ‘안전’이 화두가 됐으며, 재난과 위기 상황에도 코로나 블루를 극복하기 위한 여가활동 참여나 새로운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존에 준비된 공연, 축제, 전시 등의 공급이 온라인 관람이나 랜선 여행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되고, 이에 대한 새로운 수요층과 신규 진입 장벽을 완화하는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며 “여가활동이 가지는 즐거움 제공, 치유와 관계성 회복 등 고유한 역할과 기능에 집중하는 소비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 연구위원은 “앞으로는 개인화된 자신만의 경험이나 가치 있는 여가활동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맞춤형 여가 컨설팅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유민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청소년종합실태조사를 활용해 코로나19와 청소년 삶의 질 변화를 분석했다.

그는 “코로나19 이후 청소년의 삶의 질은 전반적으로 부정적으로 변화했으나, 가족과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긍정적으로 변화했다”며 “긍정적으로 변화했다는 비율은 전반적인 생활에서 13.4%, 가족관계 22.1%, 친구관계 15.4%, 학교생활 11.4%, 진로취업전망 7.0%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이후 학업 스트레스가 증가했다는 응답이 46.0%로 많고, 온라인 학교 수업확대에 대한 의견은 찬성과 반대가 각각 51.6%, 48.3%로 비슷하게 조사됐다”고 덧붙였다.

유 연구위원은 “비대면 사회로의 전환에서 나타나는 부정적인 영향뿐 아니라 긍정적 영향에 대한 지원과 역량 개발이 필요하다”며 “청소년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빈곤과 물질적 환경 격차 해소, 사회적 돌봄 지원, 사회적 관계의 변화에 대한 대응, 사회·경제 참여 기회 증대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복지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