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차 여성 고용실태 분석 및 정책과제 발굴 전문가 간담회’ 개최

여성가족부는 고용노동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등 유관기관과 함께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5차 여성 고용실태 분석 및 정책과제 발굴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5월 25일부터 31일까지의 '남녀고용평등 강조주간'을 맞아, 근로자의 유연근무제 활용 실태를 파악하고, 여성의 고용유지를 위한 일·생활 균형 제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되었다.

발제를 맡은 김난주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이 「2017~2020년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를 분석한 결과, 지난 4년간 유연근무제 활용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 4년간 여성과 남성 임금근로자 모두 유연근무제 활용 비율이 두 배 이상 증가하였다.

여성 임금근로자는 2017년 4.9%에서 2020년 12.0%로 2.4배 증가하였고, 남성 임금근로자는 2017년 5.5%에서 2020년 15.9%로 3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임금근로자가 가장 많이 활용한 유연근무제 유형은 '시차출퇴근제'였고, 2020년에 가장 크게 증가한 유형은 '재택 및 원격근무제'였다.

임금근로자 유연근무제 활용비율
임금근로자 유연근무제 활용비율

임금근로자의 혼인상태별로 분석하면, 여성은 기혼이, 남성은 미혼이 유연근무제 활용 비율이 높았다. 유연근무제의 활용 이유가 성별에 따라 다르다는 점을 시사한다.

한편, 「2017~2020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를 분석한 결과, 18세 미만 유자녀 기혼여성의 고용이 코로나19로 큰 타격을 받았다.

2020년 15세 이상 54세 이하 기혼여성 중 18세 미만 유자녀 기혼여성의 취업자 수와 고용률은 전년대비 각각 15만6000명, 1.5%p 감소하였고, 막내 자녀 기준으로 3세 이상 4세 이하의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고용률이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이는 어린이집 등의 휴원으로 인한 돌봄 공백이 발생하면서 돌봄 책임이 여성에게 전가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김지희 서울시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장은 "여전히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도 사용하기 어려운 노동자가 많은 것이 현실이므로, 중소기업 등에서의 모성보호제도 실효성을 강화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라고 제안했다.

권순원 숙명여자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육아휴직 사용방식을 월별에서 일별로 변경 시 보다 유연한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원격·비대면 근무 활성화, 장시간 근로문화 개선, 연령 주기별 맞춤형 인적자원개발 전략 마련 등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제안했다.

남지민 노사발전재단 일터개선팀장은 "산업·직군별로 유연근무제 활용률 편차가 큰 것을 확인했으니 산업·직군별 유연근무 활용 매뉴얼 제작 등 맞춤형 활성화 방안을 고민해야 하고, 근로시간 단축제 활성화를 위해 체계적인 대체인력 육성방안도 모색되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정형옥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선임연구위원은 "유연근무제는 돌봄 책임이 있는 여성을 위한 제도가 아니라 모든 근로자의 일과 생활의 균형을 위한 것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며, 자녀의 연령이 어릴수록 기혼여성의 고용률이 낮아지는 점을 고려할 때 육아휴직 제도의 실효성 제고와 더불어 여성의 육아휴직 이후 고용유지 방안에 대한 정책적 고민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하여, 정부는 3월 「코로나19 여성 고용위기 회복 대책」을 통해 유연근무제도 등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 도입 기업 지원 및 인센티브를 확대하기로 하였으며, 여성가족부는, 중소기업의 남성 육아휴직 활성화를 위한 가점을 5점에서 8점으로 상향하는 등 출산·양육지원과 같은 가족친화제도를 모범적으로 운영하는 기업에 부여하는 가족친화인증제 실효성을 강화하였다.

또한 노무·법률 상담, 일·생활 균형 지원, 경력개발 및 관리 자문 등의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재직여성 고용유지 지원 사업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김경선 여성가족부 차관은 "일·생활 균형 지원 제도의 활성화는 근로자의 경력단절을 막고 장기근속을 유도해 기업의 경쟁력과 지속가능한 발전에도 도움이 된다"라고 강조하며, "코로나19 이후 유연근무가 확산되면서 노동시장에서의 성별 격차를 줄여나갈 기회가 주어진 만큼, 기업의 일·생활 균형 지원 제도 활성화를 지원해 장기적으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촉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복지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