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어떤 생활방식과 태도를 가지고 살아가느냐 하는 것은 다양한 학습과 체험을 통해 터득된 문화적 산물이다. 따라서 사회구성원에게 사회복지에 대한 지식과 신념을 쉽게 접하게 하여 이를 생활화하도록 하는 것은 사회복지문제를 해결하는데

사회적 가치는 어느 날 하루아침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어떤 생활방식과 태도를 가지고 살아가느냐 하는 것은 다양한 학습과 체험을 통해 터득된 문화적 산물이다. 따라서 사회구성원에게 사회복지에 대한 지식과 신념을 쉽게 접하게 하여 이를 생활화하도록 하는 것은 사회복지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믿는다.

시대변화에 따라 정책수요가 몰리면서 보건복지부가 신(新) 파워부처의 하나로 부상, 정치인 출신의 실세 장관이 임명되고 예산도 크게 늘어났다. 앞으로 남은 큰 일은 양극화 문제, 저출산, 고령화, 사회보험 등 사회복지에 관한 것들이 분명하다. 그러나 '복지문화' 형성에 관한 한 보건복지부의 위상은 아주 초라하다.

한 가지 예를 들면,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9월 '사랑나눔실천 민ㆍ관 협의회'를 구성한 바 있다. 그러나 이 협의회는 그 실체를 파악하지 못할 정도로 활동이 미흡하다. 협의회 위원장은 보건복지부차관과 민간인 1명이 공동으로 맡고, 위원은 중앙행정기관의 국장급, 민간단체의 사무총장급 인사 15명으로 구성돼 있다. 그 기능도 사랑나눔 실천운동 각 부처 추진상황 점검, 민간부문 사회공헌활동 관련 애로사항 파악 및 해결방안 모색 등 자문기구의 성격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위상이 아주 낮다는 사실은 과학기술부가 과학의 대중화, 과학의 생활화를 위해 2004년부터 펼치고 있는 '사이언스 코리아' 운동과 비교해보면 극명하게 드러난다. 사이언스 코리아 운동에는 누가 들어도 이름을 알 수 있는 사회원로, 저명인사 24명이 공동의장 및 공동대표단을 맡고 있다. 사무국은 한국과학문화재단과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두고 있으며, 사업내용은 핵심사업('과학문화도시' 사업)과 12대 주요사업 등 모두 13가지, 연간예산은 약 250억원에 달한다. 범사회적 프로젝트, 범국민적 과학문화사업이라는 이름이 손색 없다.

참여정부가 어느덧 집권 후반기에 접어들었다. 유명무실한 위원회는 안 된다. 국가발전 수준에 걸맞는 복지문화운동 추진체계를 구축해야한다. 사회양극화 해소와 동반성장을 위해 엄청난 복지지출, 엄청난 고통분담이 필요하다고 말로만 떠들 것이 아니라, 국민의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참여를 도모할 수 있는 이 같은 사업을 이끌고 국민들을 통합하는 기제로 써야한다.
저작권자 © 복지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