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6월말 현재 자활후견기관은 242개에 달하고 있으며, 자활사업 종류로는 간병(22.7%), 집수리(14.8%), 청소(11.0%), 폐자원 재활용 사업(8.4%)이 주류를 이뤘다.

양극화 시대에 또 하나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자활사업에 대한 5년간의 평가토론회가 열렸다.
양극화 시대에 또 하나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자활사업에 대한 5년간의 평가토론회가 열렸다.

양극화 시대에 또 하나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자활사업에 대한 5년간의 평가토론회가 열렸다. 조건부 수급자와 저소득계층의 경제적 자립을 위한 자활후견기관이 올 상반기 현재 242개에 달하고 있으며, 이곳에서 모두 1만6017명이 자활근로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견기관의 자활사업은 간병(22.7%), 집수리(14.8%), 청소(11.0%), 폐자원 재활용 사업(8.4%)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며, 외식과 영농사업도 증가 추세를 보였다. 간병이 높은 순위를 차지하는 이유는 자활사업 참여자의 70% 이상이 여성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국자활후견기관협회는 11월 25일 국회 도서관 강당에서 '자활사업 5년간의 평가와 전망' 토론회를 갖고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올 6월까지 설립된 자활공동체는 580개로 이 가운데 실적보고를 한 65곳의 수익금은 총 6억5675만5091만원으로 평균 1010만3924원이었고, 수익금이 높은 사업으로는 집수리, 간병, 폐자원재활용, 청소사업 순으로 드러났다.

사업의 유지비율은 청소업종이 75%로 가장 높았으며, 집수리 71.2%, 간병 61.5%, 폐자원 51.9% 순으로 나타났고, 설립 후 폐업비율은 580개 가운데 234개로 40%였다.

참여자의 급여는 38만8600원에서 197만8300원으로 편차가 심했으며, 1인당 평균 급여는 90만240원이었다.

김신양 자활정보센터 연구부장은 "자활공동체 설립은 도시가 유리하며 도농복합지역이나 농어촌 지역의 경우 협소한 시장 및 인력발굴의 어려움으로 창업여건이 불리하다"며 "지역특성을 고려한 사업목표를 설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장은 또 "자활사업의 업무표준화가 미비한 상황에서 투명성을 보장하고 운영을 평가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고, "업무에 효율성을 기하고 사업의 성과를 진단하여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전산화 구축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류만희 상지대 교수(사회복지학)는 "자활사업은 경제부처와 신자유주의자들의 '복지병' 논리를 극복하고 도입됐다"며 "그러나 주요 정책대상인 근로빈곤층은 증가하고 있고, 이들의 소득상태는 더욱 어려워지는 등 자활사업의 현주소는 난망한 상태"라고 했다.

류 교수는 앞으로 자활사업의 방향으로 △근로빈곤층이 근로활동을 통해 스스로 자활을 도모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 △근로의욕과 상태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자활 프로그램 개발 △지역기반형 자활사업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 강구 △자활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정책목표와 평가가 가능한 체계 구성 등을 제시했다.
자활공동체 사업으로는 간병, 집수리, 청소 등의 주류를 이뤘으며, 자활근로사업 참여자의 평균급여는 90만원에 달했다.
자활공동체 사업으로는 간병, 집수리, 청소 등의 주류를 이뤘으며, 자활근로사업 참여자의 평균급여는 90만원에 달했다.

자활공동체 사업으로는 간병, 집수리, 청소 등의 주류를 이뤘으며, 자활근로사업 참여자의 평균급여는 90만원에 달했다.


저작권자 © 복지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