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비정규직의 임금수준이 정규직의 50% 선에 불과한 것은 외국과 비교해서도 지나치게 낮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26일 한국은행 조사국 전광명 과장과 이해인 조사역이 공동 작성한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이원화 실태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02년 비정규직의 임금이 상용직의 53.4%에서 2003년에는 49.7%로 낮아졌다.

또 시간제근로와 파견·용역근로, 특수고용형태 등 대안적 고용관계 근로자의 임금은 2002년 48.1%에서 2003년 41.1%로 떨어졌다. 즉 상용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이 100만원이라고 할 때 시간제 파견근로자의 임금은 41만원에 불과한 셈이다.

이러한 비정규직의 임금수준은 유럽연합(EU) 국가들의 임시직 임금이 상용직의 70% 정도인 점을 감안할 때 직무나 개인별 특성을 고려하더라도 현저히 낮은 수준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02년 고용통계에 의하면 유럽 국가들 가운데 주 30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상용직 대비 임시직 임금의 비중은 ▲독일이 83% ▲벨기에 79% ▲덴마크 78% ▲핀란드 77% ▲영국 74% ▲이탈리아 72% ▲프랑스 71% 등이었다. 이밖에 ▲그리스·아일랜드 67% ▲포르투갈 65% ▲네덜란드 63% ▲스페인 53% 등은 상대적으로 임시직의 임금비중이 낮았으나 한국보다는 높았다.

보고서를 작성한 전 과장은 "정규직 대비 임시직의 임금비중이 높은 국가들의 경우 노동시장의 유연화 정책에 따라 근로시간에 비례해 임금을 보장하는 성격이 강하고 스페인과 같이 상대적으로 임시직의 임금비중이 낮은 국가는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시키면서 고용보장을 강화하는데 치중하는 편"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8월 기준 시간제를 포함한 비정규직 근로자가 540만명으로 2003년에 비해 1년새 80만명이나 증가했다면서 이는 전체 임금근로자의 37%에 달하는 것으로 노동부는 파악하고 있다.

한편 정부와 열린우리당은 26일 파견근로 기간과 업종의 범위를 확대하는 내용의 이른바 `비정규직보호입법'을 2월 정기국회에서 처리키로 했다.

당정은 그러나 노동계가 법안 제정을 결사 반대하고 있는 만큼 파견근로 허용업종의 범위를 현행 26개에서 사실상 전업종으로 확대하는 내용 등은 노동계와 재계 등 이해 당사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대폭 손질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복지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