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의 시야를 우리 안에 가두지 말고 세계로 돌리자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특히 우리가 속해 있는 아시아부터 나눔을 확대하자는 제안이 차츰 다문화사회로 변하고 있는 우리 현실에서 공감을 사고 있다.

*아시아 빈곤국 사례1-캄보디아
인구 1400만명 중 영아 사망률 9.6%, 평균 개인 소득 350달러, 초ㆍ중ㆍ고 취학률 55%, 15세 이상 성인문맹률 68.7%, 빈곤선 이하 빈민층 36.1%, 전국에 퍼진 1000만개의 지뢰.

*아시아 빈곤국 사례2-아프가니스탄
3000만명의 국민 중 10%가 살해당함, 전체 인구의 20% 기아상태, 50~60%는 극심한 빈곤 상태. 평균 수명 41.5세, 식수오염으로 인한 5세 이하 영아 사망률 257/1000, 문맹률 81.8%.

'나눔'의 시야를 우리 안에 가두지 말고 세계로 돌리자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특히 우리가 속해 있는 아시아부터 나눔을 확대하자는 제안이 차츰 다문화사회로 변하고 있는 우리 현실에서 공감을 사고 있다.

지난 8월 21일부터 열린 '제5회 UWI아태총회' 기념 세미나는 이 같은 나눔의 세계화, 특히 아시아로부터 시작되는 '나눔'의 사유를 공유하는 귀중한 시간을 선사했다.

■최빈국 평균 소득은 세계 평균의 '1/12'

아시아 빈국 중 하나인 네팔의 뒷골목 아이들. 나눔의 시야를 세계, 특히 아시아로 돌려야 한다는 주장이 공감대를 사고 있다.
아시아 빈국 중 하나인 네팔의 뒷골목 아이들. 나눔의 시야를 세계, 특히 아시아로 돌려야 한다는 주장이 공감대를 사고 있다.

아시아 빈국 중 하나인 네팔의 뒷골목 아이들. 나눔의 시야를 세계, 특히 아시아로 돌려야 한다는 주장이 공감대를 사고 있다. 이날 '아시아의 양극화, 아시아의 연대'를 주제로 발제에 나선 김형식 한반도국제대학원대학교 국제협력학과 교수가 전한 아시아 빈국들의 실상은 새삼 충격적이다.

2007년 세계은행 자료를 토대로 김 교수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빈곤선 이하의 빈민층은 몽골 62.2%, 중국 53.7%, 방글라데시 51%, 라오스 45%, 네팔 41.8%, 필리핀 40.6%, 베트남 37.4%, 캄보디아 36.1%, 인도 36%, 카자흐스탄 34.6%에 이른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 홍콩, 싱가포르 등을 제외하면 거의 모든 아시아 국가의 국민들 중 많게는 3분의 2, 적게는 3분의 1이 빈민인 셈이다.

특히 아시아는 중국을 제외한 나라에서 8억 6500만명이 하루에 1달러 이하로 살아가고 있는데 이는 '전세계 하루 1달러 이하 인구' 중 40%에 해당하는 수치다.

김 교수는 "더욱 큰 문제는 세계경제의 성장이 동반하는 극심한 양극화"라고 지적한다.

단순히 국민 연평균소득만 비교해 봐도, 세계 연평균 소득은 6,987달러인데 반해, 최빈국들의 평균 소득은 580달러로 약 12배의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선진국 주도의 개발 패러다임 폐해

빈곤 퇴치를 위한 세계의 노력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1960~1970년대의 '제1차 UN개발 10년'을 시작으로 지난 2000년 UN이 주창한 '새천년개발계획'까지 세계의 빈곤과 실업을 해결하겠다는 노력과 움직임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김형식 교수는 아시아의 양극화 현상과 빈곤은 이를 주도한 서구 국가들에 의해 주도된 개발패러다임의 폐해 때문에 여전히 극복되지 못한다고 단언했다.

김 교수는 "서구 국가들에 의해 추진된 아시아의 경제 사회개발은 저개발국가와 선진국 간의 양극화 현상만 심화시켰다"며 "이는 수혜자의 아젠다는 도외시한 채 경제 선진국의 기득권만을 보호해준 탓"이라고 주장했다.

한마디로 '빵을 달라고 하는 자식에게 돌을 주는' 방식의 개발원조였고, 수혜국 주민들의 문제 해결 역량을 강화해 주기 위한 참여의 기회를 허락하지 않은 방식이었다는게 김 교수의 주장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해외 원조 실태를 보면, '선진국 주도' 운운하는 비판이 멋쩍어진다.

한 자료에 따르면, 2002년부터 국제사업에 대한 지원을 시작한 공동모금회의 경우 쓰나미로 인한 지정기탁을 제외할 경우 2006년 지원액은 약 28억원으로 전체예산의 1.3%에 불과했다.

김혜경 지구촌나눔운동 사무총장이 이날 세미나에서 "공동모금회가 시대의 변화에 맞게 국제적인 요구를 찾아내서 지원하는 진취적인 정책을 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국가적인 대외원조도 나라 위상에 비하면 부족하다. 올해 대외원조 지원액은 5억 8000만달러로, 1인당 국민소득(GNI) 대비 0.1%에 불과하다. OECD 국가 평균은0.33%다.

■'아시아연대기금' 수립 제안
그런 면에서 김형식 교수가 말한 '모금재단' 간의 통합 연대적 기금, 즉 '아시아연대기금(Asia Solidarity Fund)'의 수립 제안은 신선하다.

지난 7월 4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개최된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설립 20주년 국제 컨퍼런스에서 처음 제안된 '아시아연대기금'은 단기적으로 아시아의 양극화 문제를 극복하는 해외 지원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가능케하고, 장기적으로는 '민간모금재단'이 직면한 '정당성 확보'와 '재정적 도전의 위기'를 극복하게 해준다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김 교수는 특히 '아시아연대기금'은 세계의 문제에 관심을 갖겠다는 의지를 표명함으로써 나눔 문화를 확산시키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서방의 NGO가 주도하던 세계에 아시아의 여러 나라의 NGO와 민간모금재단에게 새로운 위상을 정립하게 해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연대기금의 설립과는 별도로 공동모금회의 국제적 책임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새겨들을만 하다.

김혜경 사무총장은 "한국의 경제적ㆍ국제적 위상의 변화에 따라 한국NGO들의 국제사업 영역도 변화해야 한다"며 "그간의 구호 및 개발협력사업을 넘어 다음 단계에서 사회 변화를 이끌어내는 교육과 캠페인까지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나눔의 세계화에 있어서 가장 큰 난관은 '해결되어야 할 우리 집안의 문제도 산적해 있는데'(Charity begins at home)라고 하는 기부자들의 반론이다.

하지만 최근 한 신문 칼럼니스트가 지적한대로, 우리나라가 1945년 이후 세계 각국으로부터 받은 유·무상 원조가 331억달러라는 점을 상기한다면 글로벌시대 나눔에 대한 새로운 인식 전환은 지금 또 다른 과제로 우리 앞에 놓여있다.
저작권자 © 복지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