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수준과 소득이 낮을수록, 비육체 노동자에 비해 육체 노동자가 사망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 1998년도 국민건강ㆍ영양조사의 건강검진조사를 받은 대상자 가운데 30세 이상 남녀 5607명을 추적 조사한 '건강수준의 사회계층간 차이와 정책'이란 보고서에서 밝혀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졸 이상 학력 소지자의 사망률을 1로 잡았을 때 고졸 이상은 1.30, 중졸 이상은 1.42, 초등학교졸 이상은 1.71, 무학은 2.21로 무학의 사망률이 대졸자에 비해 2배 이상으로 드러났다.

또 월 가구소득이 250만원 이상일 경우 대비 사망률은 200만~249만원 1.02, 150만~199만원 1.31, 100만~149만원 1.97, 50만~99만원 2, 50만원 미만 2.37로 각각 집계됐다.

비육체 노동자의 사망률이 1이라면 육체 노동자는 2.73에 달했다. 상용근로자 대비 사망률은 고용주가 0.98인 반면 자영업자는 1.49, 임시 및 일용근로자 3.01로 역시 큰 편차를 보였다.

지난 1년간 항상 슬프거나 우울했다고 응답한 대상자의 사망률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2.39배, 평소 스트레스를 많이 시달리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2.24배 높았다. 특히 기혼자에 비해 미혼자의 사망률이 6.31배나 됐으며 사별이나 이혼, 별거중인 사람은 1.77배 높았다.

음주의 경우 술을 마시는 양에 따라 4등분한 결과 술을 아주 조금 마시는 사람(음주량 1분위)을 1로 했을 때 이보다는 술을 조금 더 마시는 음주량 2분위군은 0.87, 술을 많이 마시는 음주량 3분위군은 1.84, 폭주가인 음주량 4분위군은 2.53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음주군의 사망률은 1.89로 술을 적당히 조절하며 마시는 게 오히려 사망 위험을 감소시켰다.

저작권자 © 복지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