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보험재단, SOS생명의전화 10년간 상담 데이터 분석 결과 공개

SOS생명의전화 도입 10년 빅데이터 결과
SOS생명의전화 도입 10년 빅데이터 결과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이하 생명보험재단)이 'SOS생명의전화' 도입 10주년을 맞아 2011년 7월부터 2021년 6월까지 10년간의 SOS생명의전화 운영 상담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SOS생명의전화는 한강 다리를 찾은 자살 위기자의 마음을 되돌릴 수 있도록 한강 교량에 설치된 상담 전화기다.

생명보험재단은 지난 2011년부터 현재까지 20개 교량에 총 75대의 'SOS생명의전화'를 설치하고, 사회복지법인 한국생명의전화와 함께 365일 24시간 상담전화 운영, 위기 상황 발생 시 119 구조대 및 경찰과 연계해 생명 구조 작업을 펼치고 있다.

소방청 및 서울시소방재난본부의 통계 자료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373.7명, 하루 평균 1명이 한강 교량에서 투신자살을 시도한 것으로 나타나 한강 교량의 자살예방을 위한 선제적 대응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생명보험재단은 벼랑 끝에 선 소중한 생명을 구하기 위해 SOS생명의전화 사업을 시작하고 자살 위기 대응체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생명보험재단이 2011년 7월부터 2021년 6월까지 10년간의 SOS생명의전화 상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 10년간 자살위기상담은 8615건 이루어졌고 그 중 교량 위 자살위기자 1808명의 생명을 구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시도구조율은 운영 초기 2011년 51.5%에서 2013년 95% 이상으로 높이며, 생명보험재단의 SOS생명의전화는 한강 다리를 찾는 자살 위기자들의 라이프 가드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고 있다.

SOS생명의전화 이용자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이 4,893명(56.7%)으로 여성 3135명(36.3%)에 비해 약 1.5배 많았으며, 연령대별로는 20대 2,811명(32.6%), 10대 2,545명(29.5%), 30대 530명(6.1%)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20대와 10대의 이용자가 60%이었고, 10대 이용자 중 17~19세에 해당하는 고등학생 비율이 84.7%로 절대다수를 차지했다.

상담 유형을 분석해보면, 이성교제, 친구관계, 직장 및 사회적응 등 대인관계가 2,278건(21%)으로 가장 많았으며, 진로 및 학업 문제가 2086건(19%)으로 그 뒤를 이었다.

또한 장기화된 코로나19로 무력감, 고독, 외로움을 호소하는 이들이 많아져 인생 관련 위기 상담도 1665건(15%)으로 3위를 차지했다.

SOS생명의전화가 설치된 20개의 한강 교량 중 위기 상담 전화가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마포대교가 총 5385건(62.5%)으로 가장 높았으며, 뒤이어 한강대교 664건(7.7%), 양화대교 414건(4.8%)으로 집계됐다.

SOS생명의전화를 가장 많이 찾는 시간대는 오후 6시부터 자정까지 4419건(51.2%)이었으며, 동이 트는 아침 6시부터 오후 6시까지는 1369 건(15.8%)으로 극명한 대비를 보였다.

하상훈 한국생명의전화 원장은 "최근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심리적∙경제적 고통을 겪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으며, 거리두기로 인한 느슨해진 사회적 관계망은 자살률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런 상황 속에서 SOS생명의전화가 더 많은 분의 극단적 선택을 막을 수 있도록 생명보험재단과 더욱 긴밀히 협력하겠다"라고 전했다.

이종서 생명보험재단 이사장은 "생명보험재단은 자살예방과 생명존중문화 확산을 위한 지원사업으로 지난 10년간 SOS생명의전화를 운영하며 자살 위기자에게 상담과 구조 연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생명보험재단은 앞으로도 위기상황을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자살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생명보험재단은 2007년 삼성생명, 교보생명, 한화생명 등 19개 생명보험회사의 공동 협약에 의해 설립된 공익법인이다.

생명보험이 지향하는 생명존중, 생애보장정신에 입각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자살예방, 생명존중문화, 고령화극복 분야를 중심으로 지방자치단체를 비롯해 복지기관과 협업해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복지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