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육시설연합회가 민간분과위원회(위원장 고지천)의 회장직무정지가처분신청 움직임 등으로 내홍을 겪고 있는 가운데 2일 국회에서 개최된 법인분과위원회 포럼 행사에 모습을

최창한 회장은 민간분과위원회의 회장직무정지가처분 신청 움직임에 대해 이는 내부의 실패를 외부에서 찾는 행위로 자신은 연합회장으로서 정관과 규칙을 지켜 처리했을 뿐이라고 강조했다.
최창한 회장은 민간분과위원회의 회장직무정지가처분 신청 움직임에 대해 이는 내부의 실패를 외부에서 찾는 행위로 자신은 연합회장으로서 정관과 규칙을 지켜 처리했을 뿐이라고 강조했다.

최창한 회장은 민간분과위원회의 회장직무정지가처분 신청 움직임에 대해 이는 내부의 실패를 외부에서 찾는 행위로 자신은 연합회장으로서 정관과 규칙을 지켜 처리했을 뿐이라고 강조했다. 한국보육시설연합회(회장 최창한)가 민간분과위원회(위원장 고지천)의 회장직무정지가처분신청 움직임 등으로 내홍을 겪고 있는 가운데 2일 국회에서 개최된 법인분과위원회 포럼에 참석한 최창한 회장을 만나 최근 사태에 대한 당사자의 입장을 들어봤다.

-한국보육시설연합회(한보련)정기총회가 혼란 속에 끝났다. 민간분과위원회에서는 이를 빌미로 회장직무정지가처분신청을 낸다고 한다.
"문제가 되고 있는 민간분과위원회의 2월 27일 집회와 3월 24일 집회는 연합체인 한보련의 사전 동의나 협의 없이 몇몇 소수에 의해 열린 것이다. 당시 보육료 지원 방안을 두고 가정분과위원회와 민간분과위원회의 의견이 서로 엇갈리고 있었다. 집회개최가 다소 늦어지더라도 하나로 되는 형태를 만들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했다. 더구나 3월 10일 개최된 이사회에서 '이사회의 승인이 없는 집회는 불법집회냐'는 질문에 대해 나는 분명히 '그렇다'고 대답했다. 당시 민간분과위원회 이사가 9명이나 있었음에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결국 집회 실패에 따른 내부 갈등이 회장에 대한 타킷으로 변질된 것으로밖에 이해할 수 없다."

-혼란의 발단은 문춘옥 전 가정분과위원장에 대한 회장의 불신임 결의 유도라는 시각도 있다.
"문 위원장의 불신임을 마치 내가 뒤에서 조정한 것처럼 말하는데 전혀 그렇지 않다. 이미 문 위원장은 서울시가정분과위원회 내에서 금전상의 문제로 인해 형사고발이냐, 자진사퇴냐의 압박을 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 한마디로 회원들로부터 이미 신임을 잃은 상태였다."

-굳이 '개별 집회 및 방문시 어떠한 요구사항에도 이익을 주는 답변을 재고하여 주시기 바란다'는 내용의 공문을 보낼 필요가 있었는가?
"민간분과위원회는 2월말 집회 후 아무런 결과도 도출하지 못하고 있었다. 더구나 그 당시 집회 때 여성부 장관을 비롯한 보육실무진들이 해외 출장중이었다고 한다. 특히 민간분과위원회는 집회에서 기본보조금 지급 정책에 대한 반대 의견을 나타냈다. 그리고 결국 기본보조금 정책은 백지화됐다. 물론 이 부분은 정부지원이 없는 민간시설들에게 있어 큰 문제가 됐다. 이에 대한 내용을 책임져야 했다. 앞서 말했듯 연합회의 승인 없는 집회는 불법으로 규정했으므로 공문을 발송한 것이다. 3월 23일 정기총회에서 이런 과정을 잘모르는 회원들을 마치 선동하듯이 자극하면 곤란하다."

-회장직무정지를 추진하고 있는 이들은 과거 전국어린이집놀이방연합회(전어련)쪽 인사들이다. 한보련과 전어련 통합에 앞장섰던 당사자로서 후회는 없나?
"후회는 하지 않는다. 그래도 민간분과위원회는 통합 전보다 오히려 낫다. 보육계가 하나로 가야 한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다만 정관 중심의 룰을 지켜가는 회원중심의 연합회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번 사태로 룰을 지키지 않은 것에 대한 기준을 잡은 것 뿐이다."

-민간분과위원회에서 기어코 회장직무정지가처분신청을 낸다면 어떻게 대응하겠는가?
"그렇지 않아도 지난 4월 28일 열린 이사회에 고지천 위원장이 참석했다. 공문 문제에 대해서 다시 따져물으며 사과를 요구했다. 하지만 한마디로 거부했다. 회장으로서 정당한 권리를 행사한 것이다. 당연히 이사회에서도 고 위원장의 주장에 동조하는 이사가 없었다. 가정이나 민간쪽 이사들도 마찬가지였다. 민간분과위원회 집회에서의 잘못된 주장에 대한 책임을 묻는 조사기구 구성 문제도 이날 이사회의에서 다뤄졌지만 더 이상 확대되지를 않기를 바라는 분위기라 이쯤에서 정리하기로 했다. 결국 가정분과위원회가 새로운 위원장을 선출해 가는 과정을 겪으며 점차 안정을 찾고 있듯이 민간분과위원회도 자체적으로 정리되어 갈 것으로 기대한다."
저작권자 © 복지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