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비 소멸위험지역 8개 시군구서 증가"
"지역 의지 맞춰 선택과 집중의 정책지원 필요"

갈수록 늘어나는 지방소멸위험지역에 대비해 다양한 복지수요에 부응하고, 질좋은 여성일자리 창출 등을 고려한 대응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상호 고용정보원 지역일자리지원팀장은 3일 서울 중구 LW컨벤션에서 한국고용정보원과 서울시 청년허브가 공동으로 개최한 '2019 청년정책 포럼'에서 이 같은 의견을 제시한다.

이번 포럼은 '청년의 지역정착을 위한 방안 모색'을 주제로, 관련 정책 방향과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고용정보원과 청년허브는 지난 5월 청년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을 강화하고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다.

고용정보원에 따르면 현재 지방소멸위험지역은 228개 시군구 중 97개로 2018년 대비 8개 시군이 증가했다.

이 팀장은 지방소멸에 대한 대응전략으로 △사회복지분야 서비스업 기반의 작동 △다양한 복지수요에 대응 △젊은 여성(중장년 포함)의 괜찮은 일자리 특징 등에 중점을 둔 대안적 발전모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역 맞춤형 전략 및 적극적 의지를 가진 지역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원칙으로 하는 정책지원이 필요하다"라며 "의료·복지·교육·일자리·문화체육 등의 영역에서 접근성을 높여 아동·청년·여성 친화적 공동체를 조성할 수 있는 인프라와 컨텐츠 사업을 지원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김정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이 '청년의 지방 이주 관련 정책과제'를 소개한다.

김 연구위원은 청년 지방 이주 정책을 도입시 고려될 필요가 있는 몇 개 관점 소개에 앞서 "청년의 지방 이주 관련 정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은 바람직하지만, 형식과 수단이 비슷한 정책들이 도입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농어촌에서 의미 있는 일자리와, 생활의 가능성 제시 △'한달 살아보기' 등 사회적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경험 △지역사회 대상의 정책 중시 △다양한 영역의 정책이 조율되는 프로그램 등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할 예정이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송수종 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이 진행하는 '2019년 청년센터 운영지원 공모사업에 선정된 16개 지자체 청년센터 현황', 정민철 마을연구소 일소공도 협동조합 책임연구원의 '지역 이주 청년의 자기주도적 지역 일거리 탐색 사례' 등도 소개될 예정이다.

아울러 발표 후에는 고재성 고용정보원 청년정책허브센터장이 진행하는 종합토론과 질의응답 시간도 진행된다. 양정열 고용노동부 청년고용기획과장, 천영민 고용정보원 청년정책모니터링팀장, 김현아 서울시 청년허브 연구협력실장, 황민호 옥천신문사 실장, 우성희 듣는연구소 대표 등이 참여한다.

고용정보원 관계자는 "지역 이주 청년의 지역 일거리 탐색 사례를 공유하는 것은 청년 지역정착을 지원하기 위한 논의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아울러 청년센터의 운영 사례를 공유하는 것은 지역 청년센터 활성화 및 지역 청년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할 탐색에도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기사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복지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