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규 총장,공공영역 강화에 따른 역할분담 고민…복지계, 적극적 정치참여 강조

신용규 한국사회복지관협회 사무총장
신용규 한국사회복지관협회 사무총장

“2차 서비스 기관이 지원·위탁사업에 집중하지 않고 본연의 역할과 기능에 충실해야 한다. 정부가 지원체계를 안정적으로 구축해 자생 가능한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신용규 한국사회복지관협회 사무총장은 ‘클라이언트를 만나지 않는 사회복지사가 과연 사회복지사일까’에 대한 고민을 하면서도 ‘정책과 제도가 제대로 이뤄져야 사회복지서비스도 제대로 될 수 있다’는 신념으로 협회 존재 이유를 늘 되새긴다.

신 총장은 1991년 처음 사회복지관에 입사해 시설서비스를 시작했다. 이후 10여 년 복지관 관장을역임하며 사회복지 현장에서 발로 뛰다, 11년 전 사회복지관협회와 인연을 맺었다.

그동안 사회복지관 운영 현실화와 종사자 처우개선을 위해 노력한 그는 가장 보람된 일로 “2009년 보건복지부의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건비 가이드라인’을 만든 것”을 꼽았다. 사회복지관에 적용하기 위해 시작했는데 결과적으로는 사회복지분야 전체에 적용돼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외에도 △사회복지사업법에 ‘사회복지관’을 명시하고 세부 기능과 역할을 제시해 복지관의 법적지위를 강화한 것 △ 2014년 사회복지관 기능을 사례관리, 서비스제공, 지역조직화의 3대 기능으로 개편한 것 △2015년 사회복지관 최소인력배치기준을 마련해 복지관 인력 확보의 근거를 마련한 것이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

최근에는 지역사회에서 공공영역이 강화됨에 따라 사회복지관의 협업관계, 역할분담을 고민하며 법·제도적 보완작업을 구상하고 있다. 복지부가 추진 중인 ‘사회서비스원’과 관련해서도 합리적인 방향이나 합의점을 찾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평소 복지운동이나 복지개혁에 관심이 많은 신 총장은 10년째 서울복지시민연대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그는 “사회복지 현장이 전반적으로 보수성을 갖고 있는데, 이 같은 분위기를 좀 더 진보적·개혁적인 분위기로 전환시키는데 일정부분 기여했다”고 자평했다. 이어 “사회복지계가 정치참여, 정치세력화에 너무 둔감하다”며 “복지계 인사들이 다양한 형태로 정책에 참여할 수 있는 구조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개인적으로는 사회복지현장이 좀 더 노동친화적, 운동친화적인 현장으로 바뀔 수 있도록 역할을 해 나갈 계획이다.

신 총장은 끝으로 “종합사회복지관 모델의 해외보급사업을 구상하고 있다”며 “전 세계적으로 유일하게 한국에만 있는 종합사회복지관이 법적으로 안정되게 보장받고, 제3세계에 전파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복지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