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토론회에서 '혼인율 감소, 원인과 문제는 무엇인가?'를 발표한 정현숙 상명대 가족복지학과 교수는 우리나라 혼인율의 감소원인을 결혼에 대한 의미와 태도변화로 설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가족을 보는 시각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

이번 토론회에서 '혼인율 감소, 원인과 문제는 무엇인가?'를 발표한 정현숙 상명대 가족복지학과 교수는 우리나라 혼인율의 감소원인을 결혼에 대한 의미와 태도변화로 설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가족을 보는 시각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교수는 "가족을 사회와 사적영역의 경계 혹은 관계성 위에 위치시키고 고립된 영역이 아닌 자율적인 영역으로 인식하며 사회ㆍ역사적인 맥락에서 가족현상 혹은 가족문화를 분석해 가족행동의 내적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혼인율의 변화가 인구구조와 제도적인 문제, 사회ㆍ경제적 문제 및 이를 통한 개인의 의식변화 등 총체적인 사회ㆍ문화적 변화와 관련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구조로서의 가족이 아닌 관계로서의 가족의 의미를 강조할 때 현재의 많은 가족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 교수는 최근 통계청에서 발표한 '2004년 혼인ㆍ이혼통계 결과'를 분석해 우리나라 혼인율의 특징과 향후 전망에 대해 고찰하면서 "최근 대중매체와 일부 연구자들의 혼인율에 대한 분석은 혼인율의 하락을 결혼기피현상으로 인식하는 시각이 팽배하지만 실제로 우리나라 혼인율의 변화양상은 인구구조의 특징에서 비롯된 결과"라고 지적하고 "우리나라 인구구조는 종형구조로 이는 전쟁이후 베이비붐 세대의 인구증가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 교수에 따르면 "우리나라 혼인율의 특징은 혼인건수 및 조혼인율이 1994년 이후 2003년까지 감소현상을 보였으나 2004년에는 증가하고 있으며 평균 초혼연령이 상승했고 외국인과의 결혼도 증가했다."며 "특히 혼인 중 재혼율 증가와 전체 혼인 중 재혼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해 2004년에는 재혼이 전체 결혼의 24.3%에 달했으며 여성의 재혼율이 남성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또 가정법률상담소의 재혼가족에 대한 연구를 인용해 이혼 후 재혼의 비율이 55.4%를 차지했고 이 수치는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재혼율 및 혼인 중 재혼이 차지하는 비율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 통계자료에 따르면 재혼 중 남녀모두 재혼인 비율이 전체 재혼건수의 70%를 차지하고 남자가 초혼인 재혼이 재혼 전체의 30%로 나타났으며 평균 재혼연령이 상승해 2004년 평균 재혼연령은 남자 43.8세, 여자 39.2세로 10년 전에 비해 남자는 4.1세, 여자는 4.2세 많아졌다. 이에 대해 정 교수는 "이는 초혼연령의 상승과 노인이혼의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혼인율 하락의 원인을 결혼에 대한 의미와 태도변화, 결혼후 일과 가족을 조화하는데서 오는 어려움, 성역할의 변화에 기인한다고 보았다. 결혼에 대한 인식변화를 보면 전통적 관점에서 결혼은 가족과 가족의 결합으로 부부와 친인척과의 유대가 강조되었으나 현대적 의미의 가족에서는 정서적 친밀감에 바탕을 둔 부부관계가 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과거의 결혼동기가 자녀출산을 우선으로 꼽았다면 요즘 젊은 세대는 부부간의 사랑과 애정을 우선으로 꼽는다. 과거 이혼사유 또한 가족간 불화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점차 가족간 불화의 원인이 감소하고 성격차이 등 부부관계의 특성에 따른 이혼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 이를 반증한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정 교수는 전반적인 혼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가족의 기능변화로 인해 '결혼으로 얻게 되는 이익의 감소'와 '결혼에 대한 사회화의 부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했다.

이에 대해 정 교수는 "결혼기피현상으로서의 혼인율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족을 보는 시각의 전환뿐 아니라 혼인율과 출산율의 하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인 일과 가족을 양립할 수 있는 사회적, 제도적 장치로서의 제도 마련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또 "가족이 사회안전망으로 자리잡지 못함에 따라 가족의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복지정책은 요보호가족, 즉 문제가족을 중심으로 지원하였으나 지금 이 시점에는 더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소위 일반가족들을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저작권자 © 복지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